1. Bored to tears 뜻
"Bored to tears"는 어떤 상황이나 활동이 지나치게 "지루해서 더 이상 참기 힘든 상태(지루해서 견디기 어려운)"를 표현하는 숙어입니다. 이 표현은 문자 그대로 해석되지 않으며, 지루함을 과장되게 표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오랜 시간 동안 관심 없거나 반복적인 일을 할 때 경험할 수 있는 감정을 묘사할 때 쓰입니다.
이 표현은 주로 누군가가 너무 지루해서 억지로 참기 어려운 상황에서 사용되며, 종종 불평이나 불만을 나타내는 데 활용됩니다. "Bored to tears"는 일상적인 대화에서 사람들의 불편함을 유머러스하게 강조할 때 매우 효과적인 표현입니다.
2. 예문
1) The meeting lasted for hours, and I was bored to tears.
회의가 몇 시간이나 계속돼서 지루해서 견딜 수가 없었어.
2) The movie was so boring that I was literally bored to tears.
그 영화는 너무 지루해서 정말 지루해서 눈물이 날 뻔했어.
3) I was bored to tears during the entire lecture.
강의 내내 지루해서 견딜 수가 없었어.
4) She was bored to tears waiting for her friend to arrive.
그녀는 친구가 오기를 기다리느라 너무 지루해서 죽을 지경이었다.
5) The book was so slowpaced that I was bored to tears halfway through.
그 책은 너무 느리게 진행돼서 중간에 지루해서 견딜 수가 없었어.
6) He got bored to tears trying to watch the long documentary.
그는 긴 다큐멘터리를 보려고 했는데 너무 지루해서 견딜 수가 없었어.
3. 영어 대화
Jisoo: Did you enjoy the meeting this morning?
지수: 오늘 아침 회의는 어땠어?
Jieun: Honestly, I was bored to tears. It went on forever and we barely discussed anything important.
지은: 솔직히 말해서, 너무 지루했어. 회의가 끝없이 길어졌고 중요한 얘기는 거의 없었어.
Jisoo: Same here. I was staring at the clock every minute.
지수: 나도 마찬가지야. 매 분마다 시계를 계속 쳐다봤어.
Jieun: It felt like time was standing still. I was practically falling asleep.
지은: 시간이 멈춘 것 같았어. 거의 잠이 올 뻔했어.
Jisoo: I know! I had to keep myself awake by drinking coffee every 10 minutes.
지수: 맞아! 10분마다 커피를 마시면서 겨우 잠을 깨웠어.
Jieun: I thought it would never end. I was literally bored to tears.
지은: 그게 끝날 거라고는 생각도 못했어. 진짜 지루해서 눈물이 날 뻔했어.
Jisoo: I feel you. Next time, we need to make sure the meeting is more focused.
지수: 나도 그래. 다음에는 회의가 더 집중적으로 진행되도록 해야겠어.
Jieun: Definitely. Otherwise, we’ll all be bored to tears again.
지은: 맞아. 그렇지 않으면 또 다들 지루해서 견딜 수 없을 거야.
Jisoo: Let's suggest some changes for the next meeting.
지수: 다음 회의에는 뭔가 변화를 제안하자.
Jieun: Agreed. No more boring meetings for us!
지은: 동의해. 우리 이제 더 이상 지루한 회의는 없을 거야!
Jisoo: I was actually hoping we'd get to the point faster, but instead we just kept going in circles.
지수: 사실 좀 더 빨리 핵심을 다뤄야 했는데, 계속 빙빙 돌기만 했어.
Jieun: Exactly! We could have wrapped it up in half the time if we stayed on track.
지은: 맞아! 주제를 벗어나지 않았으면 절반의 시간 안에 끝낼 수 있었을 텐데.
Jisoo: And don’t even get me started on the endless updates. We didn’t need every little detail.
지수: 그리고 그 끝없는 업데이트 얘기 좀 봐. 그 모든 작은 디테일이 필요하지 않았어.
Jieun: Right! Half of it was so irrelevant. I think we need to set some boundaries on what’s necessary to discuss.
지은: 맞아! 절반은 전혀 관련 없는 얘기였어. 우리가 꼭 다뤄야 할 것들에 대해 경계를 설정해야 할 것 같아.
Jisoo: Agreed. Maybe we should have a time limit for each point so we don’t waste too much time.
지수: 동의해. 아마 각 안건에 시간 제한을 두면 시간을 낭비하지 않을 거야.
Jieun: That's a great idea. We could also send out an agenda beforehand so everyone knows what to expect.
지은: 좋은 생각이야. 미리 안건을 보내서 모두가 무엇을 기대할지 알 수 있도록 하자.
Jisoo: Yes! That would help a lot. No more going off-topic or repeating the same thing over and over.
지수: 응! 그게 정말 도움이 될 거야. 이제 더 이상 주제에서 벗어나거나 똑같은 얘기를 반복하지 않게 될 거야.
Jieun: I like that plan. Let’s definitely bring it up in the next meeting.
지은: 그 계획 좋다. 다음 회의에서 꼭 그걸 제안해보자.
Jisoo: I’m glad we’re on the same page about this. Let’s make sure the next meeting is more productive.
지수: 우리 모두 같은 생각을 하고 있어서 기뻐. 다음 회의는 더 생산적이게 만들자.
Jieun: Absolutely. No more wasting time. We all have better things to do!
지은: 확실히. 더 이상 시간 낭비는 없어. 우리 모두 더 중요한 일이 있어!
Break the mold
1. Break the mold 뜻‘break the mold’는 기존의 틀이나 고정관념을 깨고 새로운 방식이나 독창적인 방법을 시도한다는 뜻의 관용 표현입니다. 여기서 'mold'는 어떤 것을 만들어내는 형틀, 즉 틀이라는
awesomestories.tistory.com
Break down
1. Break down 뜻‘break down’은 두 가지 주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첫째, 기계나 장치가 ‘고장나다’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가 고장나서 멈추었을 때 ‘My car broke down’이라
awesomestories.tistory.com
Breeze
1. Breeze 뜻‘breeze’는 ‘매우 쉽고 간단한 일’이라는 뜻으로 무언가를 쉽게 해낼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우리말 표현으로는 ‘식은 죽 먹기’ 혹은 ‘아주 쉬운 일’과 같은 의미를 지니고 있
awesomestories.tistory.com
'English idiom > b' 카테고리의 다른 글
Blow (someone's) own horn (0) | 2025.06.10 |
---|---|
Bob's your uncle (0) | 2025.06.09 |
Brass farthing (0) | 2025.06.07 |
Brass hat (0) | 2025.06.06 |
Brass monkey weather (0) | 2025.06.05 |